Nurse Dad의 ER 가이드북/약물 관리 A to Z

바소프레신 완전 정리: 신규 간호사를 위한 작용기전부터 계산법까지

꿈꾸는 간호사 아빠 2025. 5. 22. 15:14
반응형

응급실에서 자주 보진 않지만, 한 번 등장하면 당황하게 만드는 약물 바소프레신(Vasopressin). 이번 글에서는 바소프레신의 작용, 사용 목적, 증량 방법, 그리고 실제 약물 계산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
바소프레신 외에도 혈관수축제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이 궁금하다면, 아래 글도 참고해보세요!

🔗 노르에피네프린 계산법 완전 정리 🔗 도파민·도부타민 계산법 완전 정리
1. 바소프레신이란?
  • 정의: 바소프레신(Vasopressin)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항이뇨 호르몬(ADH, antidiuretic hormone)의 합성 제제로, 인체 내에서는 수분 균형과 혈압 조절에 관여합니다. 약물로는 이를 모방한 합성 제제가 사용됩니다.
  • 작용기전:
    • 혈관 수축 작용: 혈관 평활근의 V1 수용체에 작용하여 말초 혈관을 수축시키고, 그 결과 혈압이 상승합니다.
    • 수분 재흡수 촉진: 신장의 집합관에 있는 V2 수용체를 자극하여 물의 재흡수를 증가시켜 소변 배출량을 감소시킵니다. 이로써 혈액 내 수분이 유지됩니다.
  • 약물 형태: 바소프레신은 정맥 주사(IV infusion) 형태로 투여되며, 주로 중환자실이나 응급실에서 저혈압, 쇼크, 심정지 등의 상황에서 사용됩니다.
  • 비교: ADH 유사 제제에는 바소프레신 외에도 데스모프레신(Desmopressin)이 있으며, 이는 주로 요붕증(DI)이나 혈우병 치료에 사용됩니다.
📝 요약: 바소프레신은 고정 용량으로 사용하는 혈관수축제이며, 계산은 단순하지만 관류 상태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합니다.
2. 왜 사용하는가? (적응증)

1) 패혈성 쇼크(Septic shock)에서 혈압 유지를 위해 사용

  •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1차 혈관수축제로 충분한 혈압 상승이 어려운 경우, 바소프레신을 보조적으로 투여하여 혈관 긴장을 증가시킵니다.
  • 바소프레신 수치가 패혈증 상태에서 고갈되기 때문에, 외부에서 보충해주면 효과적입니다.

2) 심정지 상황에서 ACLS 프로토콜에 따라 투여

  • 일부 ACLS 알고리즘에서는 바소프레신을 에피네프린과 병용하거나 대체제로 사용해 관상동맥 관류압 상승을 도와줍니다.
  • 다만, 현재는 에피네프린 단독 사용이 일반적이며, 바소프레신은 과거에 비해 덜 사용됩니다.

3) 식도 정맥류 출혈 치료 목적 (혈류 감소)

  • 간경변 환자에게 흔한 식도 정맥류 출혈 시, 문맥 혈류를 줄이고 출혈량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.
  • 이때 바소프레신 또는 그 유사약물인 테르리프레신(Terlipressin)이 사용됩니다.

4) 뇌수술 후 뇌이뇨증(DI) 관리 (주로 데스모프레신 사용)

  • 뇌수술 후 ADH 분비가 감소하여 발생하는 중추성 요붕증(DI) 치료에 사용됩니다.
  • 바소프레신 자체보다는 지속 효과를 가진 데스모프레신이 더 흔히 사용됩니다.
반응형
3. 용량 및 증량 방법
  • 성인 패혈성 쇼크 기준: 0.03 units/min 고정 용량
  • 보통 증량 없이 고정 투여하며, 필요시 최대 0.04 units/min까지 사용
  • 체중 기반이 아닌 정해진 유닛 기준으로 사용되므로, 계산이 상대적으로 간단합니다.
  • IV pump로 일정한 속도로 지속 주입하며, 투여 중에는 혈압, 사지 관류, 요량, 젖산 수치 등을 모니터링합니다.
  • 일반적으로 바소프레신은 단독 사용보다는 노르에피네프린과 병용하는 경우가 많으며, 병용 시 약물 효과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💡 TIP: 바소프레신은 일반적으로 지속적으로 증량하지 않는 고정 용량 혈관수축제입니다. 다른 카테콜아민계 혈압제(예: 노르에피네프린, 도파민)와 달리 체중 기준 조절이 필요 없고, 고정 속도 유지가 특징입니다.
4. 바소프레신 약물 계산법 (예시)
기본 정보 (바소프레신 혼합)
  • 바소프레신 바이알: 20 units/1 mL
  • 혼합 방식 예시: 20 units + 49 mL D5W = 총 50 mL
  • ➡ 이 혼합액은 1mL = 0.4 units가 됩니다. (20 ÷ 50 = 0.4)
Step 1: 의사 처방 읽기
  • 처방: 0.03 units/min
  • 이건 1분마다 0.03 units를 주입하라는 의미입니다.
  • 1시간은 60분이니까, 0.03 × 60 = 1.8 units/hr
Step 2: 펌프 설정값 계산
  • 우리가 만든 혼합액은 1mL마다 0.4 units가 들어 있습니다.
  • 즉, 1.8 units/hr ÷ 0.4 units/mL = 4.5 mL/hr
  • IV 펌프를 4.5 mL/hr로 설정하면 정확하게 투여됩니다.
외우기 쉬운 계산 흐름 공식
1. 처방량 (units/min) × 60 = 시간당 필요한 units
2. 시간당 units ÷ 농도 (units/mL) = 설정할 mL/hr

 

이 계산 흐름은 바소프레신뿐 아니라 다른 유닛 기반 약물에도 응용할 수 있습니다. 혼합액의 농도만 다르면 숫자만 바꿔서 적용하면 됩니다!

주의할 점: 다른 약물 계산 공식

바소프레신처럼 유닛 기준이 아닌 mcg/kg/min 방식의 약물(예: 노르에피네프린, 도파민 등)의 경우 아래의 계산 공식을 사용합니다:

            처방량 (mcg/kg/min) × 체중 (kg) × 60
투여속도 = 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
            ( 약물 총량 (mg) ÷ 최종 용액 부피 (mL) ) × 1000

 

이 공식은 체중을 기준으로 용량이 달라지는 혈압제에 주로 적용됩니다. 바소프레신은 예외적으로 체중과 무관하게 고정 유닛으로 계산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.

5. 투여 시 주의사항

1) 관류 상태 모니터링

  • 사지 냉감, 피부 창백, 모세혈관 재충만 시간(CRT) 지연 등은 말초 관류 감소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.
  • MAP(평균동맥압) ≥ 65 mmHg 유지 여부 확인
  • 요량 감소는 신장 관류 저하의 간접 지표일 수 있습니다.

2) 장기 관류 저하 가능성 주의

  • 바소프레신은 전신 혈관을 수축시키므로, 심하면 내장 기관(간, 장, 신장) 혈류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장기 저산소증이 지속되면 젖산 상승, 장허혈, 신부전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.

3) 심혈관 질환 및 말초혈관질환 환자에서 사용 시 주의

  • 말초혈관이 이미 좁거나 손상된 환자에게 바소프레신을 사용하면 허혈성 합병증(예: 손발 끝 괴사)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.
  • 심근관류 저하 → 심근 허혈 또는 부정맥 유발 가능성 있음

4) 중단 시 반동성 저혈압 주의

  • 바소프레신을 갑자기 중단하면 급격한 혈압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,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점진적 감량이 필요합니다.

5) 병용 약물과의 상호작용 고려

  • 노르에피네프린 등 다른 혈압제와 병용 시, 과도한 혈압 상승 또는 관류 저하에 주의
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바소프레신은 노르에피네프린 대신 쓸 수 있나요?
A. 아니요. 일반적으로 바소프레신은 노르에피네프린에 반응이 없을 때 '보조'로 사용합니다. 단독 사용보다는 병용 투여가 일반적입니다.
Q. 주입 속도는 실시간으로 조절하나요?
A. 바소프레신은 보통 일정한 용량(예: 0.03 units/min)을 유지합니다. 상황에 따라 증량이 필요할 수 있지만 빈도는 드뭅니다.
맺음말

낯설지만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약물, 바소프레신. 사용 목적과 계산법을 숙지하면 신규 간호사도 당황하지 않고 투약과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 다음에 등장할 다른 혈관수축제도 차근차근 다뤄보겠습니다!

반응형